NFS 마운트

2022-05-17

예전에 서버구성을 앱서버와 파일서버로 나누어 구성하였던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 앱서버에서 NFS로 마운트하여 파일들을 파일서버에 떨어지게 구성하였었습니다.

2년전 쯤에 했던 작업이었는데, 네이버 블로그 정리중 해당 내용이 있어 옮겨보고자 합니다.

NFS

NFS는 Network File System 약자로,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이라고 합니다.

네이버 N 드라이브 쯤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합니다.

NFS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 방법

사실 마운트 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mount -t nfs -o sync {nfs주소} {마운트경로}

NFS 서버에서 공유하는 방법

사실 앱 서버에서 파일 서버를 NFS로 마운트를 하려면,

해당 파일서버를 NFS서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운 NAS서버에서 클릭 몇번으로 설정이 가능하였기에, 비교적 어렵지 않게 NFS서버로 만들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직접 NFS서버를 만들어 본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번 문서 해당 내용을 간략하게나마 기록해보겠습니다.

공유 설정

data_dir은 예시 디렉토리명이며, 변경하셔도 됩니다.

# vi /etc/exports
/data_dir *(rw,sync,all_squash,anounid=0,anongid=0)

설정 갱신

# exportfs -a

-a : 갱신
-r : 재갱신
-a : 공유리스트 출력

공유할 디렉터리 생성

mkdir /data_dir

NFS 재시작

# systemctl restart nfs

마무리

사실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서버에서 공유하는건 직접 설정해본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에서의 마운트만 직접해본 것이고, 동작도 잘 되었었습니다.

지금은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전향하여 서버를 만지는 일은 크게 없긴한데, 혹시나 해당 내용이 언젠가 한번 쯤은 또 쓰이지 않을까 하여 작성하였습니다.

results matching ""

    No results matching ""

    99 other / uml

    04 react / JSX